반응형
MongoDB ❓
MongoDB는 Document-Oriented(문서 지향적) NoSQL 데이터베이스이다. 오픈 소스이며 엔진은 C++로 작성되었다.
NoSQL이란 Not Only SQL의 약자로서 기존의 RDBMS(관계형 데이터베이스)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베이스이다. 또한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트 문법을 사용한다. json형태이기 때문에 nodejs와의 궁합이 좋다.
더 자세한 내용은 https://velopert.com/436 을 보고 참고!
몽고DB공식홈페이지 에서 회원가입
Mongoose ❓
MongoDB ODM 중 가장 유명한 Mongoose에 대해 알아보자😃
ODM은 Object Document Mapping의 줄임말 이다. 풀이 해보면 객체와 문서를 1대1 매칭한다는 뜻인데,
Object는 자바스크립트의 객체이고, Document는 몽고DB의 문서이다.
즉, 문서를 DB에서 조회할 때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바꿔주는 역할 이라고 생각하자.
몽고DB의 ODM으로는 Mongoose, Mongo.js 등등 많지만 Mongoose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된다.
1. 클러스터 만들기
2. 몽고DB 유저생성
3. 몽구스(Mongoose 설치)
으우아아 정마아아알 신기하네요~!!
다음으로는 MongDB Model & Schema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~!
반응형
'NodeJS 기초 > Node 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ode JS 기초] #6 SSH를 이용한 GITHUB 연결 (0) | 2020.08.11 |
---|---|
[Node JS 기초] #5 GIT 설치, First Commit (0) | 2020.08.11 |
[Node JS 기초] #4 Mongo DB Model & Schema (0) | 2020.08.11 |
[Node JS 기초] #2 NODE JS 와 EXPRESS JS 다운로드 하기 (0) | 2020.08.10 |
[Node JS 기초] #1 소개 Boiler Plate + MERN Stack (0) | 2020.08.10 |
댓글